티스토리 뷰

반응형

“EBS1 한국기행 576편”

2020년 12월 28일~2021년 1월 1일 (월요일~금요일) 9시 30분 방송

(함께 사니 좋지 않소)

새해를 앞둔 연말 2020년 유난히 힘든 일이 많았던 한 해를 보내고 2021년 신축년(辛丑年) “하얀 소의 해를 맞이하는 시간...

올해를 되돌아보고 새해를 기다리는 사람들...

우리가 함께 했던 시간들은 어땠을까?

흰소의 해를 맞이하며 다양한 동물 가족들의 연말 풍경과 그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 새해의 하얀 소망을 그려보자.

*1. 이만하면 행복해(12월 28일 월요일 방송)

전남 영광의 한적한 시골마을...

이곳의 적막함을 깨는 건 우렁찬 소들의 울음소리...

이곳에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축사를 운영하는 정수호 씨는 홀로 소 200여 마리를 매일같이 손수 키우고 있다.

송아지는 바로 옆에서 건강관리를 해줘야하기에 눈 뜨고부터 잠들 때까지 축사를 떠나지 못하는 수호 씨...

관심이 온통 소에 쏠려 있는 그에게 오늘은 특별한 날이다.

새해를 앞두고 송아지가 태어날 기미가 보인다는데...

아버지와 함께 힘을 합쳐서 송아지 받을 준비를 하는 수호 씨...

바람 잘 날 없는 한우 2세들의 소 키우기와 2020년 끝자락에 태어난 귀한 송아지까지...

새해를 앞둔 소 부자가 말하는 행복과 소원을 들어본다.

 

*2. 나는 싸움소 엄마다(12월 29일 화요일 방송)

소싸움의 고장 경북 청도...

그중에서도 올해 15살인 싸움소 강창이는 현역 싸움소 중 최고령으로 유명하다.

사람 나이로는 일흔의 노장이지만 여전히 소싸움을 할 수 있었던 건 다 엄마의 정성 덕이라고한다.

읍내에서 미용실을 운영 중인 안귀분 씨는 우연히 소싸움을 접한 후 그 매력에 빠져 청도의 첫 여성 조련사가 되었다.

그렇기에 어느새 미용실은 뒷전...

거의 하루 종일 솥을 데워 직접 보약을 끓이는 건 물론 겨울 김장철엔 강창이만을 위한 김치도 만든다.

손수 빗질과 마사지까지 해주며 귀하게 미추지만 훈련 때만큼은 누구보다 엄격하고 무섭게 가르친다는 안귀분 씨...

그녀와 오랜 세월을 함께한 싸움소의 의미와 강창이와 함께 맞이할 2021년 소망에 대해 들어본다.

 

*3. 꿈엔들 잊힐리야(12월 30일 수요일 방송)

강원도 고성의 한 축사...

겉으로 보기엔 지극히 평범한 축사이지만 20년 째 소를 키워온 임근성 씨가 이곳에서 칡소를 키우고 있다.

황소의 모습에 검은 얼룩을 가진 전통소 칡소는 일제 강점기 때 품종 개량으로 도태 되었으나 1996년 이후 칡소 복원 사업 이후로 현재 전국에 4000여 마리가 있다고 한다.

육우 맛이 기존 한우와 다르고 깊은 맛을 낸다는 칡소...

임근성 씨 역시 그 맛에 반해 지금 100여 마리의 칡소를 사육중이라는데...

한 달 전 아들 창현 씨 역시 칡소의 종자를 지키고 아버지의 대를 이어 가겠다는 일념으로 축사 일에 뛰어들었다.

한 번 맛보면 잊지 못한다는 그 맛과 칡소를 지키려는 부자의 고집을 만나본다.

 

덕유산 자락 강천리 강동마을...

장대한 솟을 대문과 화려한 눈썹지붕이 아름다은 조선중기 문신 동계 정온선생의 고택이 그림처럼 눈에 들어온다.

이 오래된 고택에 그 시간의 맥을 이어오고 있는 유성규 씨 역시 15대 종부 유성규씨...

종부의 손맛은 손맛으로 이어오고 있는데...

14대 종부 최 씨 시어머니께 익힌 정갈한 종가의 음식중 경주 최씨 가문의 전통 육포의 맛을 살려가고 있다.

오늘은 육포하는 날...

기름기가 적은 엉덩이살 우둔살에 직접 담근 비법 양념장을 만들어 맛을 채우고 바람과 햇살이 잘 드나들게 말리면 종가의 육포가 완성된다.

오랜 시간과 이야기가 있는 맛...

고택의 육포 만드는 날 풍경과 그 보다 더 깊은 고부의 이야기를 만나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