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남북정상회담 직후 최전방 지역에 있는 대북확성기가 마침내 철거된다.
지난 1963년 5월 1일 첫 방송을 시작한 지 55년 만에 일이다.
북한 지역과 불과 1.5킬로미터 떨어진 경기도 파주의 최전방지역 군 장병이 대북 방송을 내보내던 확성기를 하나씩 해체하고 있다.
철거되는 대북확성기를 전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한편에서는 대북확성기 입찰 비리 사건의 경과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2015년 8월 국방부는 거액을 들여 고성능 대북확성기 40대를 도입했고, 이중 이동식 확성기 16대의 성능이 북한 철책도 넘지 못할 정도로 부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박근혜 정부 시절 166억원의 대북확성기 장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납품 비리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음향기기 업체 인터엠 대표 조모 씨는 지난 25일 구속됐다.
하지만 조씨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를 받고있는 양주시의회 의원의 구속영장은 기각됐다.
앞서 검찰은 국방부 국군심리전단 계약 담당자 진모 상사와 공모해 인터엠 측에 입찰 편의를 제공한 정보통신공사업체 대표 안모 씨와 CCTV 설치업체 대표 차모 씨도 구속 기소했다.
이들은 인터엠과 가짜 하도급 계약을 체결해 28억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입찰 비리를 방조한 전 심리전단장 권모 대령과 전 심리전단 작전 과장 송모 중령은 지난 13일 재판에 넘겨졌다. 한편 남측 최전방 지역의 대북확성기 방송시설이 철거에 들어간 오늘(1일) 북한도 대남확성기를 철거하는 동향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오전부터 여러 곳에서 북한군의 움직임이 관측됐다며 오후에 시작된 우리 군의 철거 작업보다 빨랐다고 설명했다.
남북 간 군사적 신뢰를 쌓는 것이 더 중요한 만큼 실제 철거 작업이 이뤄졌는지는 이번 달 예정된 장성급 군사회담을 통해 상호 검증할 방침이다.
남북이 확성기를 철거하는 날인 오늘 5월1일은 1963년 서해 부근 휴전선 일대에 대북확성기가 처음 설치된 날과
일치한다.